![]() |
China square billet |
2025년 상반기, 중국의 철강 수출이 급증하면서 전 세계 철강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중국은 반제품(정방형 빌릿) 수출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국가들의 철강 산업에 심각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특히, 유럽 시장에서는 중국의 저가 수출이 현지 생산자들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철강 수출의 급증과 글로벌 시장의 압박
2025년 첫 5개월 동안, 중국의 철강 수출은 4850만 톤에 달하며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이 중 정방형 빌릿의 수출은 4배 이상 급증했다. 중국은 국내 건설 시장의 침체와 함께 해외로 눈을 돌리며,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공격적인 수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저가 철강 수출은 아시아와 유럽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철강 가격을 인하시키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철강 가격의 하락을 초래하고 있다.
유럽 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철강 수출 급증은 유럽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유럽의 남부 지역에서 철근(Rebar) 가격이 급락한 예가 있다. 2025년 5월에서 6월 사이, 철근 가격은 575유로에서 500유로로 13% 하락했다. 이는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수출되는 저가 철강의 영향으로, 유럽 시장에서의 과잉 공급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유럽 시장에서는 철강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저가 수입이 현지 생산자들의 시장 점유율을 축소시키고 있다.
이러한 수급 불균형은 EU 철강 생산 감소로 이어졌고, 2025년 초 1~5월 동안 EU 철강 생산량은 전년 대비 3% 감소했다. 반면, 중국의 철강 생산능력은 92%에 달하며, 이를 통해 철강 시장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중국 철강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향후 전망
중국의 철강 산업은 많은 기업들이 적자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수출 확대를 목표로 움직이고 있다. 2023-2025년 동안, 중국 철강사의 약 40%만이 이익을 내고 있으며, 나머지 기업들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산업 정책은 생산량 감소를 막고 있으며, 시장 원칙에 따라 생산을 계획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그 결과, 중국의 철강 산업은 과잉 생산 상황을 지속하며, 글로벌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한 "이중 탄소 목표"를 설정했지만, 수출 확대가 비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은 예측과 달리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철강 생산 감축 목표를 상회하는 수출 증가로 인해, 중국의 철강 산업 구조는 여전히 과잉 생산 문제에 직면해 있다.
글로벌 철강 시장의 변화와 대응
2025년에는 미국, 유럽연합(EU), 인도 등 주요 철강 시장들이 보호무역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 유럽연합 및 인도는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와 수입 쿼터를 강화하여,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오는 저가 수입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개방된 시장에서는 여전히 중국의 철강 수출이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터키는 중국 철강 수출의 주요 수입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중국의 철강 수출 급증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격 하락과 생산 과잉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향후 중국의 철강 산업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시장 원칙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며,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가 중국 수출에 미칠 영향이 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