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철강 정의, 과학적 기준과 재활용 중심으로 재편돼야

Green Steel


녹색철강(Green Steel)의 정의를 둘러싼 국제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국제재활용협회(Bureau of International Recycling, 이하 BIR)가 과학적이고 공정한 기준 마련을 촉구했다. BIR은 최근 발표한 정책 입장문에서 전기로(EAF) 기반 재활용 철강이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현행 녹색철강 기준이 이 같은 실적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일부 국가와 정책 입안자들은 탄소 집약도(Carbon Intensity)를 기반으로 녹색철강을 분류하고 있으나, BIR은 이러한 '슬라이딩 스케일 방식'이나 벤치마크 중심 접근이 오히려 원재료 기반의 고배출 철강을 녹색으로 간주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다. 이로 인해 재활용 기반 저탄소 철강이 공공조달, 인센티브 등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


재활용 철강의 배출 저감 효과, 정책에 반영 시급

BIR에 따르면 전기로(EAF)를 활용한 철강 생산은 고로(BF) 방식 대비 최대 74%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할 수 있다. BIR 회장 수지 버리지(Susie Burrage)는 “특별 대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공정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 결과, BIR은 녹색철강의 정의를 단순한 생산 방식이나 원재료 출처가 아닌 전 생애 주기 배출량(Life-Cycle Emissions)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를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핵심 원칙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BIR, 글로벌 무역장벽·공공조달 기준 개선 촉구

BIR은 또한 재활용 철강의 글로벌 공급망을 제한하는 수출 규제가 탈탄소화에 역행한다고 경고했다. 재활용 소재의 국경 간 이동은 저탄소 철강 공급 확대를 위한 필수 조건이며, 이에 대한 규제는 순환경제 실현을 지연시킬 뿐이라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BIR은 각국 정부에 다음과 같은 정책 조치를 요청했다:

     - 측정 가능한 배출 기준에 기반한 녹색철강 표준 마련

     - 재활용 철강 수출 제한 반대

     - 공공조달 시 재활용 함량 기준 의무화

     - 재활용 수거·분류 인프라 확대

     - 철강 정책 수립 시 재활용 업계 참여 보장


BIR 사무총장 아르노 브루네(Arnaud Brunet)는 “녹색철강 전환에 있어 공공정책이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재활용의 가치와 역할을 명확히 인식할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녹색철강의 정의는 향후 철강 시장의 경쟁 구조와 정책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기준이 될 것이다. BIR의 입장은 재활용 기술 기반 철강의 환경적 가치를 제도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시도이며, 탄소중립과 순환경제를 연결하는 실질적 해법이기도 하다. 글로벌 정책 조율과 무역 흐름에 대한 정교한 설계가 요구된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