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티타늄 스펀지 |
국내 공급과잉 해소 위한 공격적 수출 확대
중국 티타늄 스펀지 생산업체들이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수출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2023년 중국 상위 9개 생산업체는 총 24만7,400t을 출하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3.5%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중국의 연간 생산량 증가는 9년 연속 이어지고 있다. 한편, 내수 수요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중국 업체들은 해외 시장 개척을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항공우주 등 고급 수요보다는 저가 산업용 및 일반 가공용 시장을 타겟으로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우크라이나·일본 공백에 따른 글로벌 수요 이동
중국의 2025년 1~2월 티타늄 스펀지 수출은 1,079t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자포로제(Zaporozhe) 공장의 폐쇄와 일본산 공급의 유럽·미국 집중에 따른 결과다. 2024년 기준 한국, 일본, 미국이 중국 수출의 주요 3대 시장으로, 총 3,800t 이상을 수입했다. 특히 한국은 저가 원자재에 대한 수요 증가로 중국산 수입 의존도가 높아졌다. 일본은 테스트 및 비항공용 저가 소재 확보 차원에서 수입량을 두 배 가까이 늘렸다.
미국 관세와 일본의 신중한 대응이 변수
미국은 2025년 들어 트럼프 행정부 복귀 이후 관세 강화로 중국산 티타늄 수입이 35% 감소했다. 이는 2024년에 중국산 수입이 8배 급증했던 상황과 대조된다. 일본은 6만5,000t/년의 내수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자국 내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고품질 제품 중심의 전략으로 인해 중국산에 대해선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미중 갈등 및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 글로벌 고객들의 선택지도 변화 중이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중국의 티타늄 스펀지 수출 확대는 글로벌 공급 균형의 재편을 상징한다.한국과 일본은 원자재 다변화를 추구하면서도 품질과 정치적 리스크를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Tags
RAREME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