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AC |
6월 4일부터 발효…호주 “우방국의 조치 아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5월 31일,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부과하던 기존 25%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금속 공급망에 다시금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해당 조치는 2025년 6월 4일부로 발효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지난 2월 11일 트럼프의 첫 발표 이후, 3월 12일부터 시행된 철강·알루미늄 수입 전면 25% 관세의 연장선에 있으며, 호주를 포함한 모든 수출국이 대상이다.
트럼프는 이번 조치의 목적이 자국 철강 산업 보호에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철강에 대해 기존 25% 관세에 추가로 25%를 더해, 총 50%로 인상할 것입니다. 이것은 미국 철강 산업을 더욱 굳건히 지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이에 대해 호주 무역·관광부 장관 돈 패럴(Don Farrell)은 “정당화될 수 없는 조치이며, 우방국이 할 만한 행동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소비자와 호주 철강·알루미늄 산업 모두에게 해악입니다. 보복 조치는 없을 것이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관세 철회를 강력히 촉구할 것입니다.”
산업 피해 최소화 위한 정부 대응 및 기업 전략
이미 4월부터 호주 정부는 미국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산업 지원책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반덤핑 제도 강화
- 수출시장 다변화 및 지원
- 국가재건기금(NRF)을 통한 산업 회복 프로그램
- ‘호주 제품 구매’ 캠페인 강화
- 핵심 광물 전략 비축 수립
알루미늄은 미국에서는 핵심 광물로 지정돼 있으나, 호주 정부는 아직 이를 핵심 광물 목록에 포함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호주알루미늄협의회(AAC)는 알루미늄, 보크사이트, 알루미나의 지정 포함을 촉구하고 있다.
AAC의 CEO 마르가니타 존슨(Marghanita Johnson)은 국제 공급망 왜곡 및 무역 흐름 전환의 위험을 강조하며, 공정 무역 수단 확보와 제도 개혁을 정부에 요구했다.
호주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단기적 대응 전략을 통해 충격 완화를 꾀할 수 있다:
- 유연한 계약 구조(Flexible Contracting)
- 근거리 조달 전략(Nearshoring)
- 시장·고객 다변화(Diversification)
- 환위험 관리(Financial Hedging)
주간금속뉴스 논평
이번 미국의 관세 인상은 단순한 보호무역 조치를 넘어, 글로벌 금속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과 보크사이트는 중국과의 공급 경쟁 속에서 전략광물로 부상하고 있어, 호주 정부의 자원정책 조정과 산업 방어 전략의 속도감 있는 추진이 요구된다.
Tag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