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철광석 수입 현황과 철강 산업 둔화 속 가격 유지 분석

China Iron Ore Imports


2025년에도 중국 철광석 수입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며 철광석 가격은 톤당 10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철광석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수입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 철강 산업의 둔화 조짐과 글로벌 수요 감소가 향후 시장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중국 철광석 수입과 가격 동향

2025년 상반기 중국 철광석 수입량은 5억9,220만 톤으로 2024년 동기 대비 3% 감소했으나, 6월 수입량은 1억595만 톤으로 작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7월 수입량 역시 1억1,320만 톤으로 예상되어 수입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입 견조함 덕분에 싱가포르 거래소에서 철광석 가격은 올해 93.35달러에서 107.81달러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철광석 가격이 톤당 100달러 선을 유지하는 데는 중국 내 철강 산업의 수요가 얼마나 지속될지가 관건이다.


중국 철강 생산 둔화와 수출 감소

중국은 세계 철강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2025년 6월 철강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9.2% 감소한 8,318만 톤에 그쳤다. 상반기 생산량도 5억1,483만 톤으로 3% 줄었다. 특히 중국 철강 수출은 6월 한 달 동안 8.5% 하락했으며, 연간 수출 증가폭도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과 기타 국가들의 관세 강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이 철강 수요와 생산에 부담을 주고 있다.


글로벌 철광석 수요 전망과 리스크 요인

중국 외 국가들의 철광석 수요도 약화되고 있다. 7월 글로벌 해상 수입량은 1억3,656만 톤으로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럽과 한국은 수입량이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일본만 7월 철광석 수입이 3개월 내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와 함께 중국 내 철광석 재고도 지난해보다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공급 과잉 우려가 존재한다. 결국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정책 변화가 철강 및 철광석 시장에 지속적인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중국 철광석 수입 강세에도 철강 생산 둔화가 가격 유지에 제한적 역할을 한다. 글로벌 수요 약화와 무역 규제 강화가 철강 및 철광석 시장에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이다. 따라서 산업계는 공급망 다변화와 수급 안정화 전략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