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YD Brazil's electric vehicle import duty |
SKD 조립 통해 현지 고용 창출, 브라질 정부에 전기차 수입관세 인하 요청
중국의 대표 전기차 제조사 BYD가 브라질 전기차 수입관세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현지 공장을 조기 가동하며 본격적인 로비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향후 전기차 수입관세 인하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BYD는 2025년까지 브라질 현지에서 부분 조립(SKD) 방식으로 차량을 생산하며 국내 공급망 확보와 고용 확대를 통해 정부의 우호적 정책 유도를 목표로 한다.
BYD는 브라질 바이아주(州) 카마사리 지역의 기존 포드 공장을 인수해 전기차 공장을 구축하고, 이미 7월 초부터 SKD 생산을 개시했다. 이에 따라 브라질 정부가 계획 중인 전기차 수입관세의 35% 인상안(2028년 적용 예정)에 대해, BYD는 SKD 및 CKD 방식에 대한 일시적 인하(각각 10%, 5%)를 요청한 상황이다.
전기차 산업의 관세 정책 전환점…브라질 내 탄소중립 공급망 강화될까
BYD와 함께 GWM(그레이트월모터스) 또한 연내 브라질 상파울루 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다. 양사는 SKD 방식으로 초기 생산을 시작한 후, 2026년부터는 CKD 방식(완전 분해 수입 부품의 현지 조립)으로 전환해 점차 브라질 내 부품 공급망을 확립할 방침이다. 이는 향후 현지 부품업체 및 희소금속 수요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브라질 금속 및 소재 시장에도 중장기적 영향을 줄 수 있다.
ABVE(브라질 전기차 협회)는 이들 기업의 입장을 지지하며, "브라질 소비자는 기술적이고 친환경적인 차량을 누릴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브라질이 80% 이상을 수력·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국가임을 감안할 때, 국내 EV 생산 장려는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와도 부합한다는 평가다.
정치적 압박과 산업계 갈등 속 협상안 도출 가능성 주목
그러나 브라질 자동차산업협회(Anfavea)는 자국 산업 보호를 이유로 오히려 수입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정부의 입장은 엇갈린다. 이 가운데 일부 정치권은 BYD의 SKD 생산 계획 기간인 12개월 동안만 한시적으로 10%의 관세를 적용하는 절충안을 추진 중이다.
브라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대통령 정부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를 핵심 의제로 삼고 있으며, 전기차 보급 확대 및 산업 내 탄소배출 저감을 병행하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배경에서 중국 전기차 기업들의 조기 투자와 고용 창출은 일정 부분 협상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BYD와 GWM의 브라질 내 SKD 생산 확대는 희소금속 및 부품 수요 증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향후 관세 정책 변화 여부에 따라 중남미 전기차 시장 진출 전략 및 공급망 전략이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