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ritish Metal Recycling Industry |
영국 정부가 검토 중인 재생철강 수출 제한 정책이 영국 금속 재활용 산업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금속 재활용 협회(BMRA)가 의뢰한 셰필드 할람 대학교 연구진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 제한으로 인해 2만 명 이상의 직접·간접 고용이 위태로워지고, 산업 경제 생산량이 50억 파운드(약 6조 7,400억 원)까지 감소할 수 있다.
저탄소 전기로 전환과 국내 스크랩 수요 증가 전망
영국 철강 산업은 전통 용광로에서 저탄소 전기로(EAF) 생산으로 전환 중이다. EAF는 100% 철강 스크랩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재생철강에 대한 국내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철강업계는 재생철강 수출 제한을 요구하고 있으나, BMRA 보고서는 “만약 2050년까지 모든 용광로가 EAF로 전환되어도 영국 내 스크랩 총 공급량의 3분의 2만 필요할 뿐, 나머지 3분의 1은 여전히 수출되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재생철강 수출이 산업 전체 공급망에서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수출 제한은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저해할 수밖에 없다.
수출 제한의 경제적 영향과 정책 제언
특히 터키가 영국 재생철강 수출의 최대 시장인데, 터키에 대한 수출 금지 시 20억 파운드(약 2조 6,900억 원) 이상의 부가가치 손실과 6,800명 이상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된다. BMRA의 제임스 켈리 CEO는 “수출 제한은 단순히 물량 감소가 아닌, 산업 경제 기반 자체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영국 금속 재활용 산업의 수출은 생명줄과 같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한 정부, 재활용 업계, 철강 생산자 간 긴밀한 협력과 정책 조율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한다. 수출 제한보다는 시장 다변화, 품질 기준 연구, 위험 기반 무역 영향 도구 개발 등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결론: 재생철강 수출 제한은 산업 위축 초래
영국 재생철강 수출 제한은 단기적인 원료 확보 이상의 문제다. 산업 전반에 걸친 경제적 피해와 고용 감소를 유발하며, 철강 전환 과정의 안정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는 협력을 통해 균형 잡힌 정책을 마련해야 하며, 국제 무역에서의 시장 다변화 전략이 요구된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영국의 재생철강 수출 제한 논의는 저탄소 전환과 산업 보호라는 두 축 사이에서 균형이 필요한 과제입니다. 제한 조치가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킬 위험이 크므로, 정부와 업계는 다자간 협력과 시장 다변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