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Japan Steel Industry Decarbonization |
전기로(EAF) 전환과 수소 기반 제강 기술, 국가 주도 아래 동시 추진
일본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 정책은 정부 주도와 민관 협력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철강 부문의 탄소 감축을 기업의 책임이 아닌 국가 차원의 과제로 인식하고, 세액 공제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재정 지원에 나섰다. 특히 고로-전로(BF-BOF) 중심 구조에서 전기로(EAF) 중심 체제로의 전환을 중점 전략으로 추진 중이다.
일본은 현재 세계 3위의 철강 생산국이며, 생산량의 약 1/3을 수출한다. 전체 철강 산업의 CO₂ 배출 비중은 산업 전체의 40%에 달하며, 이는 고로 기반 제강 공정의 구조적 한계와 직결된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2013년 대비 CO₂ 배출량 3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본격적인 전기로 전환기에 진입했다.
민간 대형 제철사, 전기로 투자 본격화…정부는 세액공제로 대응
2025년 들어 일본 주요 철강사들은 전기로 확대 투자를 본격화했다. **일본제철(Nippon Steel)**은 총 60억 5천만 달러를 투자해 규슈제철소에 신규 전기로를 건설하고, 기존 전기로 2기를 확장·재건축할 계획이다. 연간 총 생산능력은 290만 톤이며, 2029 회계연도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JFE 스틸도 2025년 4월, 구라시키에 연간 200만 톤 규모 전기로 건설을 발표했다. 총 투자액은 22억 달러이며, 2028년 1분기 상업 운영을 목표로 한다.
두 프로젝트 모두 일본 정부의 적극적 세제 지원을 받고 있다. 일본제철은 약 17.5억 달러, JFE 스틸은 6.9억 달러 상당의 세액 공제를 지원받으며, 해당 조치는 **GX 녹색전환촉진법(GX Act)**에 근거한다. 기업은 새로운 전기로에서 생산되는 톤당 친환경 강재 1톤당 149달러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전기로 전환 속도 '차이'…기술 한계와 정책 불균형 지적도
반면, **고베제강(Kobe Steel)**은 아직 전기로 전환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2025년 5월, 2024~2026년 감축 예산을 절반으로 줄이며, 주주 우려를 이유로 전기로 전환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추가 검토를 강조했다. 고베제강은 기존 고로를 대체할 전기로 건설을 2030년 이후로 연기한 상태다.
한편, 일본에서 전기로 기반 철강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도쿄제철(Tokyo Steel)**은 Scope 1 기준으로 톤당 0.68t 이하의 낮은 배출량을 이미 달성했으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를 선언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BF-BOF 기반의 '균형강(Balanced Steel)'만을 녹색 조달 대상으로 인정하는 점은 전기로 기업들에 불이익을 주는 구조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수소와 재생에너지, 일본형 탈탄소 모델의 또 다른 축
일본은 전기로 전환과 함께 수소 기반 철강 기술도 적극 도입 중이다. Nippon Steel, JFE Steel, Kobe Steel 등은 **수소 제철 컨소시엄(Hydrogen Steelmaking Consortium)**을 구성하여 ‘Super Course5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로에서 수소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CO₂ 배출 50% 감축을 목표로 한다. 이미 실험로에서 33% 감축 성과를 달성했으며, CCUS 기술과 연계해 상업화 가능성을 모색 중이다.
또한, 전기로의 안정적 가동을 위해 HBI/DRI(수소 환원철) 도입도 병행된다. Nippon Steel은 호주산 저등급 철광석 기반 DRI 기술 개발에 나섰고, JFE Steel은 UAE에서 연간 250만 톤 규모의 DRI 공장 건설에 투자해, 절반을 자국 생산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재생에너지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4년 수정된 **제7차 에너지기본계획(7-SEP)**은 재생에너지를 국가 에너지 정책의 주축 자원으로 선언하며, 2050년까지 수소 전해 용량을 15GW, 녹색 수소 생산량을 최대 1천만 톤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주간금속뉴스 논평
일본의 철강 산업 탈탄소 전략은 정부 주도형 세제 정책과 민관 기술 협력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고비용 구조의 철강 전환을 현실화하기 위한 실용적 접근으로, 한국 철강업계에도 시사점이 크다. 특히 전기로 및 수소 기반 제강 기술의 상업화 속도는 글로벌 공급망 경쟁력 재편을 결정지을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